300x250
위암으로 숨진 항공 승무원이
우주방사선 노출로 인한
산업재해를 처음 인정받았다.
고인은 얼마나 많은 비행 업무를 하였나?
고인은 1995년부터 2021년까지
연평균 1,022시간씩 비행기를 탔다
이 중 절반 가량은 미주/유럽으로
장시간 비행을 하였다.
미주/유럽 노선의 경우 북극항로를 통과하는데
이때 우주방사선 영향이 5배 이상
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
북극항로가 방사선이 높은 이유는
이를 막아줄 대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.
산재 관련 논쟁
<회사입장>
승무원 누적 피폭 방사선량
연간 6mSv를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하였다
→ 위암과 우주방사선의
상관관계는 밝혀진 바 없다
<위원회>
고인의 누적 노출 방사선량은 측정된 것보다 많을 수 있으며
장거리 노선의 특성상 불규칙한 시간 식생활등
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산재로 인정할만하다.
우주 방사선 일어나는 이유
우주에서 끊임없이 지구로 날아오는
고에너지 입자로 된 방사선을 말한다.
먼 우주에서 일어나 초신성 폭발 등이
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.
(자료 출처 : 나무위키)
'사회 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동소문 행복기숙사(반값 기숙사) 위치 정보 월세 및 이슈사항 (1) | 2023.11.27 |
---|---|
비행 중 여객기서 문 개방시도 이유 처벌 수위 정리 및 요약 (0) | 2023.11.23 |
나라장터 1시간 먹통 이유 피해사항 전문가 의견 정리 (0) | 2023.11.23 |
초록뱀 미디어 주가 / 상장 폐지 요약 / 이유 / 이의 신청 (2) | 2023.11.22 |
식당 종이컵 금지 관련 요약 정리 (feat.플라스틱 빨대 계도 기간 연장) (0) | 2023.11.07 |
댓글